°♡。통기타&악보

I'm not the only one (Saxophone Cover by Alexandra)

SanChoLong 2017. 5. 2. 20:30





 








마지막으로 'I'm Not the only one'의 가사와 해석입니다.

 

샘 스미스(Sam Smith) - I'm Not the only one


You and me we made a vow
우린 맹세했지
For better or for worse
좋든 싫든
I can't believe you let me down
네가 날 실망시켰다는 게 믿어지지가 않아
But the proof is in the way it hurts
하지만 쓰라린 증거로 깨달아
 

For months on end I've had my doubts
몇 달씩이나 계속 의심을 해 왔어
Denying every tear
눈물은 흘리지 않으면서
I wish this would be over now
이젠 이 모든 게 다 끝나기를 바라지만
But I know that I still need you here
여전히 네가 여기 있길 바라는 날 알아

 
You say I'm crazy
넌 내가 미쳤다고 하지
Cause you don't think I know what you've done
네가 한 짓을 난 모른다고 생각하니까
But when you call me baby
하지만 네가 나한테 전화할 때
I know I'm not the only one
나만 그런 게 아니란 걸 알아


You've been so unfaithful
너는 계속 다른 남자와 만나고
Now sadly I know why
이제 난 그 이유를 알아
Your heart is unobtainable
네 마음을 잡을 수가 없어
Even though you don't share mine
네가 내 마음을 거절하는데도
 
You say I'm crazy
넌 내가 미쳤다고 말하지
Cause you don't think I know what you've done
네가 무슨 짓을 했는지 나는 모른다고 생각하니까
But when you call me baby
하지만 너에게 전화가 올 때
I know I'm not the only one
나만 그런 게 아니란 걸 알아
 

I have loved you for many years
오랫동안 널 사랑했어
Maybe I am just not enough
아마 아직도 충분하지 않은가 봐
You've made me realise my deepest fear
너는 내 가장 깊은 곳에 있는 두려움을 이끌어 내
By lying and tearing us up
거짓말을 뱉고 우리 사이를 찢어발기면서
 
You say I'm crazy
내가 미쳤다고 넌 그래
Cause you don't think I know what you've done
네가 무슨 짓을 했는지 난 모른다고 생각하니까
But when you call me baby
하지만 너에게 전화가 올 때,
I know I'm not the only one
나만 그런 게 아니라는 걸 알아
I know I'm not the only one
나만 그런 게 아니라는 걸 알아
I know I'm not the only one
나만 그런 게 아니라는 걸 알아
And I know...
I know I'm not the only one
나만 미친 게 아니라는 거 알아



, Verse부분이에요 이부분의 멜로디는 대부분 Dm(레 파 라 도)에 속해있는 음들로 구성되어있어요~

대부분 곡들의 Verse를 보면 코드가 바뀌어도 멜로디는 한 화음에 속해있게 작곡된 경우가 많아요 저도 그런 이유를 정확히는 모르지만요ㅎㅎ


Phrase는 처음부터 두마디단위로 봤을때 (a + a + a) + (b) 로 나뉘어 지는데, 이는 코드 진행하고도 연관이 있어요! 

A와 A' 부분 각각 8마디중 마지막 두마디는  멜로디도 바뀔 뿐 아니라 코드 진행도 바뀌죠! 그 이유는 앞과 다른 코드와 멜로디를 통해 종지감을 형성해주기 위함이에요~ 특히 7번째, 15번째 마디에 나오는 C코드는 F Major Scale(바장조)에서 5도(V)이기 때문에 더욱 더 종지감을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죠


이곡의 구성상 Bridge(또는 Pre-Chorus) 부분이 없는 대신에 A'가 있죠! 대부분의 곡들은 A-B-C로 구성되는데에 반해 이곡은 A-A'-C로 시작해요! Sam Smith의 Stay with Me에서도 Bridge부분이 없었는데 이곡도 똑같네요~







Bridge부분 없이 나오는 Chorus! 앞 부분들은 멜로디의 중음역대에서 맴돌았다면 이부분은 고음으로 확 올라가죠! B부분이 없고 C부분에서 고음역대로 갑자기 이동함으로써 Chorus부분을 훨씬 강조하는 역할을 하는 것 같아요 ~


Phrase는 Chorus전체인 8마디로 이루어져있는데요, 8마디로 구성되어있다는 의미는 8마디동안 같은 멜로디가 거의 안나온다는 것이기 때문에 우리가 예측하지 못한 멜로디들로 8마디를 끌어 나감으로써 긴장감을 유지하는 것이죠! 이는 앞에 Verse부분이 2마디로 나누어져있기 때문에 더욱 돋보이는 것이랍니다^^


Chorus 멜로디 정~말 좋네요






다음은 A''부분인데요 1절에서는 A, A' 총 16마디로 이루어져있는데 2절에서는 8마디로 반을 줄였어요~

Sia의 Chandelier에서 2절 첫 부분을 반으로 줄인 것과 비슷한 이유일 것 같아요! 지루하지 않기 위해서ㅎㅎ


A''는 A,A''부분과 비교했을 때 가사에 따른 멜로디 변화 말고는 똑같아요~






D부분! Final Bridge라고 칭해요~ 


D부분은 곡이 2절까지 진행된 상태에서 곡 전체가 지겹지 않게 뒤를 이끌어 가기 위해 분위기를 잠시 환기 시키는 역할을 하는데요,

그러기 위해서는 D부분이 앞부분과 확연히 달라져야겠죠?


잘 살펴보면 A, C 부분은 한 마디에 코드가 2~3개씩 있는 반면에 D부분은 한마디에 코드가 하나씩이에요! 그 이유가 앞부분과는 다른 새로운 분위기를 만들기 위함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